한국사회 식습관이 바뀌면서 쌀 소비보다 밀 소비가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두들 공감하듯 유독 빵가격이 높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밀가격 떨어지는데 빵값은 왜 계속 오를까? 심지어 대한민국 빵이 전 세계에서 비싼 순위 1등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빵이 한국빵이라는 거죠.
오늘은 밀가격은 크게 떨어지는데 한국빵 가격은 왜 계속 오르는지 그 원인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밀가격 추이와 세계 빵 가격
2023년 현재 기준 밀가격 추이
트레이딩 이코노믹스에서 2023년 현재 기준에서 제공한 밀가격입니다. 이번주 5% 이상 떨어졌고 1년 기준 20% 이상 밀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현재 밀가격 외 관련 가격을 확인하고 싶은 분은 트레이딩이코노믹스(Trading Economics)에 방문하거나 아래 이미지 클릭하시면 농업뿐만 아니라 전 세계 196개국의 다양한 경제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밀가격 떨어지는 상황에 전 세계 주요 도시 빵 가격
한국빵이 정말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게 맞을까?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에서는 빵 1kg당 비용을 조사했습니다. 뉴욕, 파리를 비롯해 서울, 오사카, 취리히, 홍콩, 제네바, 싱가포르, 코펜하겐, 이스라엘의 텔아비브까지 10개국 빵가격을 소개합니다. 2019년 기준이니까 지금은 더 격차가 벌어진 걸로 추정됩니다.
한국은 밀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빵가격이 비교적 높은 것은 이해하지만 2019년 기준 이웃나라 일본보다도 3배 정도 높은 것은 이해하기 힘듭니다. 이와 같이 밀가격과 관계없이 대한민국의 빵 가격은 유독 높습니다. 2023년 현재, 다른 주요 나라 가격보다 최소 2배에서 많게는 5배 이상 높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밀가격 관계없이 빵값이 높은 이유
추이를 보면 밀가격과 관계없이 빵가격만 치솟고 있는 듯 보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요인들이 빵가격을 계속 높이고 있는 걸까요?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1. 물가상승률 추이
올해 그리고 지난 10년간 물가 상승률을 보면서 정말 빵가격이 비싼지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2023년 1분기 먹거리 물가 상승률
올해 2023년 1분기 주요 먹을거리의 물가 상승률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올해 대한민국 물가는 무섭게 오르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이 빵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같은 밀을 사용하는 라면, 과자, 떡볶이, 피자에 비해서도 훨씬 더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명 밀가격 과는 다른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 10년간 물가 상승률
이번엔 주요 품목 5가지에 대한 10년간 물가 상승률을 알아보겠습니다.
통계청 기준 2013년 6월부터 올해 2023년 6월까지 10년간 물가 상승률을 보면 모두 많이 올랐지만 이번에도 빵이 특히 더 많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려 10년 전보다 68% 상승한 걸로 확인되는데요. 이는 설탕 상승률 보다 2배 이상 더 오른 것입니다.
2. 베이커리 시장의 독과점
밀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빵가격이 이렇게 무섭게 오르는 가장 큰 이유는 베이커리시장의 독과점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SPC와 CJ에 국내 빵 전체시장의 약 7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경쟁이 거의 없는 시장구조에서 한번 올라간 빵 가격은 내려오질 않는 것입니다. 지난 2020년 공정위가 SPC에 과징금 600여 억을 부과하기도 했으나 그 이후에도 빵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SPC의 경우 파리바게트 외에도 마트에 납품되는 삼립빵도 제조하고 있어서 독과점 시장은 당분간 깨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3. 고급 베이커리 인기
2개 회사의 독과점으로 빵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개인들도 베이커리 가게를 많이들 시작하는 분위기가 수년간 계속되고 있습니다. 빵가격을 올려놨기 때문에 개인들이 운영하는 상황에서도 어느 정도 마진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죠.
소금빵의 경우 보통 개당 3000~4000원 정도 판매하고 있는데요. 소금빵의 원산지인 일본의 경우 현재 개당 1,000원 정도에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들은 다품종 소량생산을 어려움과 높은 인건비와 임대료에도 높아진 빵 가격 때문에 도전이 계속되는 모양새인데요. 빵 1개 가격이 식사 한 끼 가격과 유사한 정도로 높아져 있습니다. 개인 베이커리 가게들은 파리바게트, 뚜레쥬르와의 차별성을 위해 고급화를 위해 빵가격을 더 올리는 경향까지 보이면서 일부 매장에서는 조각케이크 1개 가격이 1만 원을 훌쩍 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4.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빵가격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그만큼 수요가 받쳐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벌써 수십 년 전부터 쌀소비는 점점 줄고 밀소비는 계속 늘고 있었습니다. 빵은 선택의 제품에서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빵 1개가 일반 식사 가격까지 올라간 것은 식사 대용으로 빵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면서
밀가격 하락에는 영향이 없는 빵의 유통구조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세계에서 가장 빵값은 바로 잡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유통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착한 빵집이 필요해 보입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는 우회하는 방법이 1가지 있습니다. 비싼 빵가격 때문에 호황인 제품이 있는데요. 바로 생지입니다. 특히 크로와상의 생지는 판매되는 제품에 비해 약 1/6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데요. 오븐에 잠시 굽기만 하면 판매하는 제품 이상의 맛을 내고 있어서 1년 만에 250% 이상 성장하는 등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생지 등을 활용해서 알뜰한 생활을 하는 국민들이 늘어난다면 대형 프랜차이즈 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Food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로리 걱정말고 소화가 잘 되는 사워도우 빵으로 다이닝을 즐기세요. (0) | 2023.07.20 |
---|---|
오징어를 알아보자: 김건희 최애 산낙지 아닌 강릉 전통시장 오징어회 (0) | 2023.07.14 |
알려지지 않은 미용 슈퍼푸드 : 비밀의 아름다움 식품을 공개합니다. (0) | 2023.07.08 |
연령대 계절별 감기 극복 음식 가이드 콧물,기침,가래,몸살 팁 (0) | 2023.07.08 |
다양한 허브티 마시는 시간 추천! 지금 알려드립니다 (0) | 2023.07.07 |